목록전체 글 (183)
on my way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61VQu/btsJjtw8eL8/DcDc2aedY0JwPV45rf1ZP1/img.png)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748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cmd in commands: i, j, k = cmd answer.append(sorted(array[i-1:j])[k-1]) return ans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kcMw6/btsJjmEYKL8/mwL7gtvfbvCa9d8mmMg29K/img.png)
def solution(citations): answer = 0 citations.sort(reverse=True) for i in range(len(citations)): if(citations[i] 정렬: 먼저 인용 횟수 리스트 citations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이 첫 번째에 위치하게 된다.루프를 통해 조건 확인:이 정렬된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검사만약 논문의 인용 횟수 citations[i]가 그 논문보다 인덱스가 높은 i+1보다 작다면, 그 i가 H-IndexH-Index 반환: 만약 모든 논문이 그 인덱스보다 높은 인용 횟수를 가지고 있다면, 전체 논문의 수가 H-Index 예를 들어, 인용 횟수가 [6, 5, 3, 1, 0..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cyIAr/btsJhia3Q59/2P5fICKmRRQKakis1NFW0K/img.png)
def solution(my_string): str = "" for i, s in enumerate(my_string): if s.lower() >= 'a' and s.low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UGO7/btsJe6jozOm/YN68JtpEQbHfG7xUDoiZ51/img.png)
def solution(quiz): for i, q in enumerate(quiz): q1, q2 = q.split('=') quiz[i] = 'O' if int(eval(q1))==int(q2) else 'X' return quiz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b510F/btsJe91t2sr/ZlZkTbPa8s8yqKagLKRi80/img.png)
def solution(babbling): words = [ "aya", "ye", "woo", "ma"] for i, b in enumerate(babbling): for w in words: if w in b: babbling[i] = babbling[i].replace(w," ") return len([True for b in babbling if not b.stri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RkpGv/btsJgdPpf4W/I2c9gCU38mS5jsbVrQrKkK/img.png)
def solution(lottos, win_nums): cnt0 = lottos.count(0) cntw = 0 for w in win_nums: if w in lottos: cntw += 1 scores = {6: 1, 5: 2, 4: 3, 3: 4, 2: 5, 1: 6, 0: 6} return scores[cntw + cnt0], scores[cntw] 처음에는 7 - 일치 횟수 이런식으로 풀어서 코드가 더러워진 감이 있었다.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 딕셔너리를 사용해서 일치 횟수와 매칭시켜 출력하게끔 했다. 코드 해설cnt0 계산:cnt0 = lottos.count(0)는 민우가 모르는 번호 0의 개수를 계산cntw 계산:cntw는 민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