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algorithm/CodingTest (26)
on my way

1. 날짜와 시간 형식 변환DATE_FORMAT(): 날짜와 시간 형식을 변환합니다.SELECT DATE_FORMAT(NOW(), '%Y-%m-%d %H:%i:%s');%Y: 연도 (4자리)%m: 월 (2자리)%d: 일 (2자리)%H: 시간 (24시간 형식, 2자리)%i: 분 (2자리)%s: 초 (2자리)2. 날짜와 시간 연산DATE_ADD(): 날짜를 더합니다.SELECT DATE_ADD(NOW(), INTERVAL 1 DAY); -- 하루 더하기DATE_SUB(): 날짜를 뺍니다.SELECT DATE_SUB(NOW(), INTERVAL 1 HOUR); -- 한 시간 빼기DATEDIFF(): 두 날짜 간의 차이를 일 단위로 반환합니다.SELECT DATEDIFF('2023-07-01', '2023-0..
1. JOIN의 유형MySQL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요 JOIN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INNER JOINLEFT JOIN (또는 LEFT OUTER JOIN)RIGHT JOIN (또는 RIGHT OUTER JOIN)FULL JOIN (MySQL은 직접 지원하지 않지만, UNION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CROSS JOINSELF JOIN 1.1 INNER JOININNER JOIN은 두 테이블에서 매칭되는 행만 반환합니다.SELECT A.*, B.* FROM TableA A INNER JOIN TableB B ON A.common_column = B.common_column; 1.2 LEFT JOINLEFT JOIN은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과 오른쪽 테이블에서 매칭되는 행을 반환합니다.매칭되지 않는..

DFS (Depth-First Search)깊이 우선 탐색 DFS는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로,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방문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DFS는 가능한 깊이 있는 노드를 먼저 방문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ex)미로의 출구를 찾을 때, 가능한 깊숙히 들어간다.여러 갈래의 길이면 한 방향으로 끝까지 가보고 막다른 길이면 돌아와서 다른 길을 간다.시작 노드 : AA -> B -> DD -> BB -> C -> E즉, A -> B -> D -> C -> E DFS 예시import java.util.*;public class DFSExample { static class Graph { private int V; // 정점의 수 private LinkedList adj..
1. 기본 문법변수 선언과 초기화int a = 10;double b = 3.14;char c = 'A';String s = "Hello"; 조건문if (a > 5) { System.out.println("a is greater than 5");} else if (a == 5) { System.out.println("a is 5");} else { System.out.println("a is less than 5");} 반복문for (int i = 0; i 2. 자료 구조배열int[] arr = new int[5];arr[0] = 1;arr[1] = 2;int[] arr2 = {1, 2, 3, 4, 5}; ArrayListimport java.util.ArrayList;ArrayLis..
WHERE 절목적: WHERE 절은 행 수준에서 필터링을 수행합니다.사용 시기: 그룹화(GROUP BY)가 발생하기 전에 데이터를 필터링할 때 사용됩니다.적용 대상: 집계 함수(SUM, AVG, COUNT 등)가 아닌 개별 행의 조건을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예시:SELECT * FROM employees WHERE salary > 50000;HAVING 절목적: HAVING 절은 그룹 수준에서 필터링을 수행합니다.사용 시기: 그룹화(GROUP BY)가 발생한 후, 그룹화된 데이터에 대한 조건을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적용 대상: 집계 함수가 포함된 조건을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예시:SELECT department, SUM(salary) as total_salaryFROM employeesGROUP BY d..

06. 스택 06-1. 스택 개념 스택은 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제일 나중에 꺼낼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이렇게 먼저 들어간 것이 마지막에 나오는 규칙을 선입후출 또는 FILO(First In Last Out)라고 한다. 이때 스택에 삽입하는 연산을 푸시push, 꺼내는 연산을 팝pop이라고 한다. 06-2 스택의 정의 ADT는 우리말로 추상 자료형abstract data type으로, 추상 자료형이란 인터페이스만 있고 실제로 구현은 되지 않은 자료형이다. 일종의 자료형의 설계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다면 스택은 어떤 정의가 필요한 자료구조인가? 언어에 따라 표준 라이브러리에서 스택 제공 여부는 다르다. 파이썬의 경우 스택을 제공하진 않지만 대안으로 리스트 메서드인 append..